침삼킬 때 목아픔 급성 후두염 및 편도선염

침 삼킬 때 목 아픔 급성 후두염 및 편도선염

침 삼킬 때 목 아픔이나 귀에 통증이 나타나는 등 목 주위 통증은 흔히 편도선염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급성 후두염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급성 편도선염은 주로 환절기나 면역력이 떨어져 편도선에 생긴 염증으로, 세균과 바이러스가 편도에 침입하면 이를 감지하고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생성해 사우며 염증 반응으로 인해 부으면서 분비물을 배출하고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침삼킬 때 목아픔 여성

편도선염

편도선염은 면역력과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과 영유아, 기력이 떨어진 노인에게서 더 잘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잦은 기침 때문에 식욕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영양 불균형과 저항력이 떨어져 반복되는 악순환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편도선염은 건강한 사람도, 과로나 과음,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신체 저항력이 저하됐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 증상

침 삼킬 때 목 아픔은 코 일구 증상이기도 하지만 급성 편도염 또한 흔히 침 삼킬 때 목 아픔 증상이 있으며 감염원의 독성과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열과 오한, 인후통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인·후두의 부기와 통증으로 침이나 음식을 삼키는 것을 어렵게 하며, 전신 피로, 전신 쇠약, 관절통 등의 증상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급성 편도염은 만성으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1년에 5회 이상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목에 만성적인 이물감, 인후통, 심한 구취,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만성 편도염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성 편도선염은 편도선이 과도하게 비대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급성 편도염 증상이 수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기 증상으로 편도선염이 있는 여성

편도선염 치료

편도선염이 심하지 않을 때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가글제 사용, 소염제 복용 등으로 개선됩니다. 그러나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합병증이 동반되면 항생제 치료와 함께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편도선염이 반복적으로 재발하거나 편도선이 커져 기도폐쇄가 발생하거나 편도선 주변의 합병증을 고려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급성 후두염

환절기에는 편도선염뿐만 아니라 감기 증상으로 인해 목이 붓고 목소리가 변하는 증상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는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한 후두와 그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급성 후두염으로 인해 생기는 증상입니다. 환절기에는 커진 기온 차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고 공기도 건조해서 호흡기 점막이 약해져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기 때문입니다.

후두 점막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뿐만 아니라 공기를 가습 하는데,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로 인해 염증이 생기면 부어오르고 통증도 생기게 됩니다. 또한, 침 삼킬 때 목 아픔, 목에 이물감, 목소리가 변하거나 안 나오기도 합니다. 심해지면, 인두와 편도선, 기관지 등 주변 조직으로 염증이 퍼지고 기침, 콧물, 코막힘, 가래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최악의 경우 호흡이 곤란해지고 발열, 근육통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인후염 치료제

급성 후두염 치료

급성 후두염은 치료하면 보통 2~3주 안에 완치되지만 후두를 자극하면 빨리 낫지 않습니다.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를 맑게 하고, 실내 공기가 건조하면 가습기를 이용해 습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와 말을 줄이는 것이 좋고, 후두를 자극할 수 있는 흡연과 음주 외에도 맵고 짠 음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글액은 침 삼킬 때 목 아픔이나 후두염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하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고, 증상에 따라서 해열제나 소염제, 스테로이드제 등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급성 후두염은 감염병인 만큼 기침 등의 증상이 있으면 공공장소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고 외출 후에는 손 씻기 등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만성 후두염을 방치하면 염증이 악화해, 궤양이나 물혹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